- 산업계 수요조사를 바탕으로 한 선수과목, 전공필수, 전공선택, 공통필수 등으로 구성(2개 트랙: 실감미디어테크놀로지 트랙, 실감미디어콘텐츠 트랙)
- 박사과정(36학점): 전공필수 (12학점) + 전공선택 (24학점) + 기업인턴십(국내외 연구실 인턴십 포함) 필수 + 박사학위 논문
- 석사과정(24학점) : 전공필수 (12학점) + 전공선택 (12학점) + 기업인턴십 필수(국내외 연구실 인턴십 포함) + 석사학위 논문
실감미디어 공학과 교육과정(안)
분류 | 구분 | 교과목명 | 교과목개요 |
---|---|---|---|
선수과목 | 공통 | 기초 프로그래밍 | C 또는 Python |
선수과목 | 심화 프로그래밍 | C/C++ 응용 | |
선수과목 | 인공지능 기초 | 인공지능/딥러닝 기술 | |
전공필수(3) | 실감미디어테크 | 실감미디어 프로그래밍 | OpenCV/ Python 고급프로그래밍 |
전공필수(3) | 실감미디어테크 | 실감미디어 영상처리 | 영상처리 기술 |
전공필수(3) | 실감미디어테크 | 실감미디어 그래픽스 | 그래픽스 기술 |
전공필수(3) | 실감미디어콘텐츠 | 실감미디어 콘텐츠 개발 | 콘텐츠 디자인 및 시나리오 작성 |
전공선택(3) | 실감미디어테크 | UNITY 프로그래밍 | Unity 콘텐츠 제작 |
전공선택(3) | 실감미디어테크 | 딥러닝 기반 이미지처리 | 인공지능 기술 응용(NERF 등) |
전공선택(3) | 실감미디어테크 | 메타버스 플랫폼 응용 | 게임 플랫폼 분석 및 SDK 활용 |
전공선택(3) | 실감미디어테크 | 실감미디어 국제표준 | MPEG-Immersive 국제표준 |
전공선택(3) | 실감미디어테크 | 실감미디어 스트리밍 | 실시간 네트워크 전송 기술 |
전공선택(3) | 실감미디어테크 | 인공지능 응용 | 인공지능 응용 및 실습 |
전공선택(3) | 실감미디어테크 | 실감미디어와 컴퓨터비전 | 컴퓨터 비전 실습 |
전공선택(3) | 실감미디어콘텐츠 | 실감미디어와 디지털휴먼 | 실감미디어 디지털휴먼 콘텐츠 기술 |
전공선택(3) | 실감미디어콘텐츠 | 실감미디어 UI/UX | 메타버스 UI/UX 기술 이해 |
전공선택(3) | 실감미디어콘텐츠 | 실감미디어 플랫폼 기술 응용 | 로블록스, 제페토 등의 플랫폼 SDK |
전공선택(3) | 실감미디어콘텐츠 | 햅틱기술 및 인터랙션 | HCI 기술 및 Haptic 처리기술 |
전공선택(3) | 실감미디어콘텐츠 | XR스튜디오 | 콘텐츠 제작 환경 및 실습 |
전공선택(3) | 실감미디어콘텐츠 | 콘텐츠산업 비지니스 | NFT 콘텐츠산업 비즈니스 이해 |
전공선택(3) | 실감미디어콘텐츠 | 실감미디어문화테크놀로지 | 문화유산의 실감미디어 콘텐츠화 |
전공선택(3) | 실감미디어콘텐츠 | 디지털치료제 | XR기술 기반의 디지털치료제 |
전공선택(3) | 실감미디어테크 | Advanced Computer Vision | 글로벌 최상위 컨퍼런스 논문을 목표로한 고급과정 |
전공선택(3) | 실감미디어테크 | Fusion XR Media | 하드웨어, 소프트웨어, 크리에이티브를 융합하는 고급과정 |
공통필수(2) | 공통 | 실감미디어 세미나 I/II | 기술세미나 및 초청특강 |
공통필수(2) |
(산업체연계) 실감미디어 캡스톤디자인 프로젝트 I/II (석사 / 박사) |
석사 졸업요건 / 산업체 인턴 필수 | |
공통필수(1) | 논문작성법 및 연구윤리(국제논문작성법) | 논문작성법 및 연구윤리 |
-
-
학위과정
-
학위과정 이수 주요 기준
구분
주요내용
비고
학위과정
- 석사
- 박사
- 석·박사통합
의무등록학기 (수업연한)
- 석사 : 2년 (4학기)
- 박사 : 2년 (4학기)
- 석·박사통합 : 4년 (8학기)
※ 통합과정 : 최대 1년 단축
수료학점
- 석사 : 24학점
- 박사 : 36학점
- 석·박사통합 : 51학점
트랙 이수
- 각 트랙별 지정된 교과목 중 2과목 이상 필수이수
필수선수과목이수
- 논문작성법 및 연구윤리1 [COV7001]
교과목 이수
※ 신·편입생은 1기(권장)에 필수선수과목으로 이수해야 함
※ 수료학점에는 포함되지 않으나, 교육과정 수료와 학위수여를
위해 반드시 이수
과정별 교육과정 수료조건
- 수업연한 (의무학기등록) 등록
- 수료학점 취득
- 성적평점평균 3.0 이상
※ 공통필수 교과목 이수 포함
논문제출자격시험
- 외국어시험 합격 (혹은 면제)
- 전공시험 합격
안전교육 이수
- 입학 첫 학기부터 매학기 1회씩 이수
(박사, 석·박사통합 과정 연구등록학기 포함)
※ 전공시험 및 본심 응시자격기준
※ 학기별 성적공시 열람자격
학위논문 제출자격 (졸업)
① 수료학점 및 의무등록학기 충족
② 외국어시험 (외시) 합격
③ 전공시험 (전시) 합격
④ 예비심사 (예심) 합격
⑤ 학회 발표 또는 학술지 논문 게재 조건 충족
⑥ 안전교육 이수 (본심학기 포함 매 학기 이수)
⑦ 학위논문심사 (본심) 합격
⑧ 논문작성법 및 연구윤리1 교과목 이수 (선수과목)
※ 학위논문 게재 인정기준 참조
※ 신·편입생은 '논문작성법 및 연구윤리1' 교과목 (온라인)을
이수 해야 논문 본심 신청 가능
학위명
공학석사, 공학박사
-
논문제출자격시험
- 논문제출자격시험은 매 학기 학과에서 지정한 시험일에 실시함
-
전공시험
응시자격 ① 각 학위과정으로 아래에 지정된 학점 이상 취득하고 성적평점평균 3.0 이상인 자
- 석사학위과정 : 15학점 이상 취득자
- 박사학위과정 : 27학점 이상 취득자
- 석박통합과정 : 39학점 이상 취득자
② 안전교육 이수자
- 석사/박사과정 : 1기~2기 (2개)
- 석박통합과정 : 1기~4기 (4개)
응시방법 - 전공시험 매 학기 응시자는 기한 내 gls에서 본인 직접 신청 후 응시
※ 매 학기 1회 실시
- 전공시험에 불합격한 자는 불합격한 과목에 한하여 재응시 가능
- 면제신청 대상자는 gls에서 전공시험을 신청하고, 전공시험 면제원을 기간 내 학과사무실로 제출
합격기준 - 100점 만점으로 각 70점 이상 면제신청 (자격기준)
- 석사/박사 : 대학원 전공과목 중 2과목 이상 B+(3.5) 이상 성적 취득할 경우
- 석박사통합 : 대학원 전공과목 중 3과목 이상 B+(3.5) 이상 성적 취득할 경우
-
외국어시험
응시과목 - 영어 응시방법 - 외국어 시험에 응시하고자 하는 학생은 기한 내 gls에서 본인 직접 신청 후 응시
※ 매 학기 1회 실시
- 면제신청 대상자는 gls에서 외국어시험을 신청하고, 유효한 공인어학성적표를 gls에 업로드
합격기준 - 100점을 만점으로 70점 이상 면제신청 (자격기준) - TOIEC : 720 - TEPS : 308(구 TEPS 570) - TOEFL : 215(CBT) 또는 80(IBT) 또는 550(PBT) - OPIC : IM2 - IELTS : 6.5 - TOPIC : 4급(외국인) - TOEIC Speaking : Lv.5
-
교육과정 및 지도교수 선정 관련
-
오리엔테이션 내 설명 예정 (3월 / 9월 내)